본문 바로가기
인간과 건축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과 건축 진행과정의 관계

by 올리브웰 2023. 11. 4.

 

Erik Homburger Erikson,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에릭슨 Erik Homburger Erikson 은 개인의 심리사회적 발달을 설명하는 심리학자로 유명한 인물입니다. 그의 심리사회 발달단계 이론은 인간의 생애 주기를 다양한 발달 단계로 분류하고, 각 단계에서 개인이 직면하는 과제와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론은 개인의 자아 정체성 형성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중점을 두며, 심리적 발달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상호관계를 강조합니다.

1.기본 신뢰 vs. 불신 단계 (유아기): 이 단계에서 아기는 가장 중요한 도움자인 양육자에 대한 기본 신뢰를 형성하거나 불신을 경험합니다. 환경에서 안정감과 지지를 받는다면 기본 신뢰가 형성되며, 이후의 발달 단계에서도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2.자율성 vs. 수용 단계 (유아기 후반): 이 단계에서 아동은 자신의 능력을 발견하고 자율성을 경험하려는 욕구를 가집니다. 그러나 양육자의 제한과 규제가 과도하면 자율성을 억압당하게 되고 수용에 의한 행동 패턴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3.발전적 노력 vs. 열등감 단계 (유년기): 이 단계에서 아동은 주변 사회와의 경쟁과 성취를 통해 자신의 역량을 개발하고 발전적인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게 됩니다. 그러나 실패와 열등감을 경험할 경우, 자아 정체성의 형성과 발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4.역할 혼동 vs. 역할 확립 단계 (소년기): 이 단계에서 청소년은 사회적 역할에 대해 혼동과 불안을 경험하며, 자신의 역할을 형성하고 확립하려는 과정을 겪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사회적 기대와 자아의 일치를 찾는 과정으로 자아 정체성의 발달이 이루어집니다.
5.친밀성 vs. 고립 단계 (청년기): 이 단계에서 개인은 친밀한 인간관계와 사회적 연결에 대한 욕구를 경험하며, 사회적 관계에서의 성공과 실패에 따라 친밀성을 형성하거나 고립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6.생산성 vs. 중년기의 스트레스 단계 (중년기): 이 단계에서 중년의 개인은 가족, 직업, 사회적 기여 등을 통해 자신의 생산성과 성공을 경험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역경과 스트레스 요인에 직면할 경우, 자아 정체성과 삶의 목적에 대한 불만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7.자아 통합 vs. 절망 단계 (노년기): 이 단계에서 개인은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성취와 실패를 평가합니다. 만족스러운 삶을 살았다고 느끼면 자아 통합이 이루어지며, 그렇지 않을 경우 절망과 후회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 이론을 건축의 진행 단계와 비교해 본다면 다음과 같은 관점을 도출해 낼 수 있습니다:

1.자아 정체성 형성: 건축의 진행 단계에서도 건축물이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경험합니다. 건축물은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특정한 스타일, 기능, 문화적 의미 등을 통해 자아 정체성을 표현합니다.
2.환경과의 상호작용: 건축물은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적응하고 발전합니다. 건축물은 자연환경, 사회적 환경 등에 대한 요구와 조화를 이루며, 건축물의 발전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3.사회적 연결과 관계: 건축물은 사회적 연결과 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건축물은 사회적 공간을 제공하고, 사회적 상호작용과 소통을 촉진합니다. 건축물은 사회적 관계 형성과 사회적 기능을 통해 사회적 연결을 도모합니다.
4.성취와 실패: 건축물의 진행 과정에서 성취와 실패의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건축물의 설계와 구축 과정에서 성공과 실패, 제약과 도전 등을 경험하며 건축물의 완성과 사용에 대한 만족감을 얻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건축의 진행 단계와 Erikson의 이론 사이에서 유의미한 상호관계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건축물의 자아 정체성 형성은 건축물이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고 건축물의 기능과 스타일을 통해 자아를 표현하는 것과 유사한 개념일 수 있습니다. 또한, 건축물의 성취와 실패는 Erikson의 발달 단계에서 성공과 실패를 경험하는 것과 유사한 경험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건축과 심리사회 발달단계 이론을 비교하고 연결하면, 건축 설계 과정에서 사용자의 심리적 요구와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더욱 의미 있는 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